1. 고혈압이란

고혈압이란 위 팔에 혈압대를 감아 측정한 동맥의 압력을 기준으로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확장기혈압)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120 mmHg와 80mmHg 미만일 때 정상 혈압이라고 한다. 

혈압은 정상 혈압, 주의 혈압, 고혈압 전단계, 그리고 1기와 2기 고혈압으로 나누며, 원인 없이 발생한 고혈압을 본태 고혈압, 원인이 있는 경우 이차 고혈압이라고 한다.

2. 고혈압의 원인

본태 고혈압은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전 경향을 보인다. 환경에 의해서도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는, 흡연은 단기간 교감신경을 활성화해 혈압을 올리는 조건이 되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흡연이 만성적인 고혈압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과음이 고혈압 발생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는 많이 있다. 신체활동이 많으면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 저염식과 함께 채소와 생선을 더 많이 섭취하고, 지방을 적게 섭취하는 대시(DASH) 식단 역시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심리적 스트레스와 통증도 혈압을 상승시키지만, 그 효과는 대게 일시적이며 만성적으로 혈압을 일으킨다는 근거는 없다.

3. 고혈압의 경과 및 예후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동맥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생기면서 다양한 표적 장기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심장은 비대해지 고 관상동맥 혈류 예비능이 감소해 심장근육 허혈이 생기며 결국 고혈압에 의한 심부전에 이르게 된다. 뇌에는 열공 경색이나 미세 출혈이 생기며 혈관 협착이 동반되어 노졸중이 발생한다. 콩팥 혈관과 실질의 손상으로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지고 단백뇨가 나온다. 눈의 망막 변화도 고혈압의 중요한 표적 장기 손상 중 하나이다.

4.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표적 장기 손상 ( 심장, 뇌, 망막 혈관 및 말초 혈관 등 중요 장기의 고혈압에 의한 손상 ) 전까지는 특별한 증세가 없는 것이 보통이지만, 간혹 두통, 두근거림,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고혈압 치료제

첫째, 안지오텐신 전환요소 (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성 차단 : 두 약제 모두 콩팥의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호르몬게에 작용해 혈압을 낮춘다. 심부전이나 단백뇨가 있는 고혈압 환자나 당뇨가 동반된 고혈압 환자에게 적합하다.

둘째, 칼슘채널 차단제 : 혈관 확장 효과가 있어 협심증이 있는 고혈압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또한 노인이나 수축기 단독 고혈압 환자에게도 효과적이다.

셋째, 베타 차단제 : 협심증, 심근경색, 빈맥성 부정맥이 있을 때 권고한다. 맥박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서맥, 방실차단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넷째, 이뇨제 :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체액량 자체를 감소시켜 혈압을 낮춘다. 지나치게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 탈수나 저혈압, 전해질 이상으로 인한 근경련, 부정맥 등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심부전이 동반된 고혈압이나 수축기 단독 고혈압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6. 정기진찰

혈압을 낮추기 위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게획된 진료 날짜까지 처방된 혈압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혈압을 측정해 기록하고 진료 시 가져가 의사 선생님과 상의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