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의 정의

다한증이란 열이나 감정적인 자극에 의해서 비정상적으로 많은 땀을 흘리는 질환이다. 정상적으로 체온이 올라가면 땀샘에서 땀을 분비하고,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을 감소시킨다. 다한증은 정상적인 체온 조절을위한 땀 분비 보다 과다하게 땀이 분비되는 질환이다. 다한증은 필요 이상의 땀이 손이나 발, 겨드랑이, 머리 등에 발생하기 때문에, 생활에 불편함을 끼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불편함을 넘어 땀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그로 인해 대인 관계나 직업, 사회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주기도 한다.

다한증의 원인

다한증 환자들은 땀이 많이 나는 것을 병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방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발병률을 알기는 어렵지만 전체 인구의 06~4.6% 정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심한 다한증은 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 발생하고, 손바닥과 겨드랑이에 동반 발생하는 경우가 그 다음으로 많고, 다음으로는 겨드랑이 단독으로 또는 머리부위 순으로 발생한다. 우리 몸의 땀샘 중 다한증에 관계되는 땀샘은 에크린 땀샘으로 우리 몸에 약 300만개가 있다. 에크린 땀샘은 주로 손바닥과 발바닥에 분포하며,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땀의 양은 1분당 0.5~1ml 정도이다. 심한 고온의 조건에서는 하루에 10L의 땀을 분비하기도 한다. 다한증 환자는 교감신경이나 에크린 땀샘 자체는 조직학적으로 이상이 없으나 기능적으로 정신적인 자극에 대해 교감신경계이 활성이 증가되어 있어서 일차적으로 시상하부의 이상이 원인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력은 약 50% 정도에서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14번 염색체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다한증의 진단

치료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한증을 확진하고 발한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야 한다. 일차성 다한증과 이차성 다한증인지를 진단하는 것이 먼저이다. 일차성 다한증은 최소 일주일에 1회 이상의 과도한 분비,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도의 다한증, 발병 시점이 25세 미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 양측성이며 비교적 대칭적인 땀 분비 분포를 보이는 경우 중 2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일차성 다한증으로 보고 있다.

다한증 치료의 필요성

다한증은 어느 나이에도 생길 수 있지만 활동이 왕성한 성인기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업무를 수행하는 데도 영향을 준다. 심한 손 다한증이 있는 경우 손잡이가 미끄러워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고, 특히 전기기구나 금속, 섬유 등을 다루는 직업은 더 많은 불편감을 호소한다. 학생의 경우 시험기간에 손에 흐르는 땀 때문에 답안지 작성이 힘들다고 한다. 의사나 물리 치료사처럼 상대방과 직접적인 신체 접촉이 있는 직업도 다한증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다한증은 땀이 많이 나는 부위에 습진, 피부염, 무좀과 같은 피부 합병증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다한증은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다한증 치료 방법

다한증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 방법이 있다. 수술적인 방법은 잠재적으로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술적인 치료 방법을 시행하기 전에 비수술적인 치료 방법이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다한증의 치료에 이용되는 국소 외용제에는 염화 알루미늄, 항콜린성 약물, 수렴제 등이 있다. 이런 약물들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바르기 쉽기 때문에 손발 다한증, 겨드랑이 다한증 치료에 일차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다한증의 수술적 치료는 흉강 내에 존재하는 교감신경을 절단하는 시술을 말하며, 약 100년 전부터 최근까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시행되고 있다. 수술하는 신경의 위치는 다한증 부위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다양한 의견들이 있고, 아직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은 부위의 신경을 수술할수록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나 교감신경 가지 절제처럼 적은 부위의 수술을 하게 되면, 수술의 효과가 없거나 재발의 확률이 증가한다. 교감신경 수술은 인체에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으로 가슴에 공기 또는 물이 차는 기흉이나, 흉수, 출혈이 생길 수 있고 팔 신경의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얼굴 다한증을 수술하는 경우에 드물게 눈꺼풀이 처지는 호너 증후군이 생기기도 한다. 다한증에서 교감신경 수술이 효과가 영구적이고 안전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은 바로 부작용 때문이다. 부작용 중 보상성 다한증은 다한증 수술 후 가장 흔히 발생하고, 이 부작용이 환자들로 하여금 수술을 후회하게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교감신경 수술을 하면 손이나 겨드랑이, 얼굴 등에 나던 땀이 몸통이나 허벅지 또는 하체에 옮겨서 나게 되는데, 이를 보상성 다한증이라고 한다. 보상성 다한증은 환자에 따라 극심한 고통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 자신이 이러한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수술을 결정해야 한다.

+ Recent posts